정부가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안 적용 기간을 10월 18일부터 31일로 설정함에 따라, 내달 1일 방역체계를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커졌다. 사회적 거리두기 조정은 이번이 마지막으로 조정안이 적용되는 기간이 새 방역체계로 가기 위한 ‘징검다리’가 될 것이다.
이달 31일까지 확진자 수 억제 중심의 현행 방역체계를 유지한 뒤 내달 1일부터는 중환자-사망자 수를 관리하는 ‘단계적 일상회복’, 이른바 ‘위드(with) 코로나’로 방역체계를 전환하게 된다.
방역체계 전환의 전제 조건으로 국민의 70%(18세 이상 기준 80%) 이상이 코로나19 예방백신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는 기준을 제시하면서, 접종 효과가 나타나는 2주 뒤인 내달 초 새 체계를 적용한다고 이미 발표한 바 있다.
우리는 ‘위드 코로나‘의 실행이 일상 회복의 대전환을 의미하는 것이어서 경기회복의 돌파구가 된다는 점에서 각계의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런가 하면 일각에서 제기되는 방역체제의 전환 등 위드 코로나 실행 이전에 취해야 할 사전조치가 치밀하게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에 주목한다,
우리보다 먼저 ’위드 코로나‘를 시작한 나라들이 확진자 폭증을 겪고 있는 것을 보고 있다.
반면교사로 삼아 출범에 앞서 방역체계 정비와 비상계획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
방역조치를 완화하면 확진자가 큰 폭으로 늘어 하루에 1만 명에 이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지금까지 거론되고 있는 방안가운데 사적모임의 가이드라인으로 인원 제한 영업시간 완화 등은 그동안 사회적 거리두기로 고통을 받아온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의 정상적인 경제활동으로 가는 길을 넓히는 것으로 환영을 받을 것이지만, 백신 패스 제도가 미접종자에는 인권침해 소지를 안고 있다.
방역체계가 위증증 환자 중심으로 개편할 때 경증 무증상 환자의 자택치료 시스템 점검도 체크 포인트의 하나다. 우리는 2년 전 코로나가 상륙했을 초기 의료인의 성공적인 헌신적 봉사를 바탕으로 방역 K로 대외홍보 했으나 백신 조달문제로 혼란을 겪은바 있다.